삼국유사를 통한 漢文공부2(勉強)

삼국유사 읽어보기【第二南解王、第三弩禮王】

漢文공부를 삼국유사로 진행해보자! | 한문 초보를 위한 삼국유사 읽어보기2


第二南解王

제2남해왕

南解居西干亦云次次雄. 是尊長之稱唯此王稱之. 父赫居世, 母閼英夫人, 妃雲帝夫人

남해거서간여운차차웅. 시존장지칭유차왕칭지. 부혁거세, 모알영부인, 비운제부인

前漢平帝元始四年甲子即位御理二十一年, 以地皇四年甲申崩, 此王乃三皇之弟一云.

전한평제원시사년갑자즉위어리이십일년, 이지황사년갑신붕, 차왕내삼황지제일운.

按三國史云. 新羅稱王曰居西干, 辰言王也, 或云呼貴人之. 稱或曰次次雄或作慈充. 

안삼국사운. 신라칭왕왈거서간, 진어왕야, 혹운호귀인지. 칭혹왈차차웅혹작자충.

金大問云 “次次雄方言謂巫也. 世人以巫事鬼神尚祭祀故畏敬之, 遂稱尊長者爲慈充. 

김대문운 “차차웅방어위무야. 세인이무사귀신상제시고외경지, 수칭존장자위자충.

或云尼師今言謂齒理也.”

혹운이사금어위치리야.

初南解王薨子弩禮讓位於脫解解云, “吾聞聖智人多齒.” 乃試以餅噬之. 

초남해왕훙자노례양립어탈해탈운, “오문성지인다치.” 내시이병서지.

古傳如此. 或曰麻立干, 金大問云 

고전여차. 혹왈마립간, 김대문운

“麻立者方言謂橛也. 橛標准位而置, 則王橛爲主臣橛列於下, 因以名之.” 

“마립간방어위궐야. 궐표준립이치, 측왕궐위주신궐열어하, 인이명지.”

史論曰 “新羅稱居西干·次次雄者一, 尼師今者十六, 麻立干者四. 

사론왈 “신라칭거서간-차차웅자일, 이사금자십육, 마립간자사.

羅末名儒崔致逺作帝王年代暦皆稱某王不言居西干等, 豈以其言鄙野不足稱之也. 

신말명유최치원작제왕연대력개칭모왕불어거서간등, 기이기어비야부족칭지야.

今記新羅事, 具存方言亦冝矣. 羅人凢追封者稱葛文王未詳. 

금기신라사, 구존방언여의의. 라인범추봉자칭갈문왕미상.

此王代樂浪國人來侵金城不克而還. 又天鳯五年戊寅高麗之裨屬七國來投.”

차왕대낙랑국인래침금성불극이환. 우천봉년무인고려지비속칠국래투.”


第三弩禮王

제3노례왕

朴弩禮尼叱今. 初王與妹夫脫解讓位, 脫解云 “凢有徳者多齒, 冝以齒理試之.” 

박노례이질금. 초왕여매부탈해양위,탈해운 “범유덕자다치, 의이치리시지.”

乃咬餅験之王齒多故先立. 因名尼叱今, 尼叱今之稱自此王始. 劉聖公更始元年癸未即位.

내교병험지왕치다고선위. 인명이사금, 이사금지칭자비왕시. 유성공경시원년계미즉위.

攺定六部號, 仍賜六姓.

시정육부호, 잉사육성.

始作兠率歌, 有嗟辝·詞腦格.

시작도솔가, 유차사(嗟辭 ; 구절)-사뇌격(詞腦格 ; 음격).

始製黎耜及藏氷庫, 作車乗.

시제여사급장빙고, 작차승.

建虎十八年伐伊西國滅之, 是年高麗兵来侵.

건호십팔년벌이서국멸지, 시년고려병래침.


乃내 / 又 우 / 于 우 / 焉 어찌 언 / 漸 차츰 점 / 殆 거의 태 / 矣어조사 의 

儒 선비 유/ 皆 다 개 / 某 아무 모 / 豈어찌 기 / 鄙 더러울 비

克이길 극 / 還돌아올 환 / 又또 우 / 裨도울 비 / 投던질 투

乃 이에 내 / 按 누를 안 / 此차 / 御어 어거하다.말을몰다.통치하다

謂 위 / 遂 수. 이루다 / 稱 칭 / 或 혹시 혹 / 尚 오히려, 더욱이 상

祀 제사 사 / 畏 두려워할 외 / 薨 훙서 훙, 많을 횡 / 讓 양보할 양 / 吾 나 오, 

聞 들을 문 / 聖 성인 성 / 智 지 / 齒 치 / 試 시 / 餅 떡 병 / 噬 씹을 서 / 傳 전한 전 / 凢범

如 같을 여 / 橛 말뚝 궐 / 標 표할 표 / 准 준할 준 / 置 둘 치 / 冝 마땅 의 / 矣어조사 의 / 未詳미상

咬 물 교 / 餅 떡 병 / 験 험 / 攺 역귀쫓을 시 / 仍인할 잉 / 賜 줄 사 

黎 검을 여 / 耜 보습(농기구) 사 / 乗 승 / 及 미칠 급 / 藏 감출 장


Creative Commons License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