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東史] 이란혁명이 가져온 변화

이란혁명이 가져온 변화

I. 머리말
II. 석유의 등장
III. 1979년 이란혁명의 시작
IV. 맺음말

I. 머리말

  이란혁명이 발생한 배경을 먼저 확인해 보자. 삼제국시대(1500~1800) 이란 지역은 사파비 제국의 통치하에 있었다. 사파비는 종교적으로 이슬람 시아(Shia)파이지만,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이었다. 한편, 이슬람의 서구에 대한 우위는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점령을 기점으로 완전히 역전된다. 사파비는 삼제국시대 말기까지 존재했으며 점차 와해된다. 이후, 이란 지역은 러시아와 영국의 그레이트 게임(1813~1907)의 중간지역으로서 생존한다. 그렇던 이란 지역이 다시 역사의 중요한 기점으로 작동하게된 계기가 석유의 등장이다.

II. 석유의 등장

  1901년 윌리엄 다스라는 호주인이 이란의 채굴권을 구매하고, 1908년 최초로 마스제데 솔레 이만(Masjed Soleiman, 이란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된다. 발견해낸 석유회사의 지분을 영국 정부가 50%정도 사들여, 영국 군함에 싸고 안정적인 가격으로 석유를 공급하게 한다. 이란에 서 발굴된 석유는 1차세계대전(1914~1918) 영국의 승리에 중요한 기여를 한 기반이었다.

이후 1927년에 키르쿠크(Kirkuk, 이라크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고, 1932년에는 바레인(Bahrain)에서 미국이 석유를 발견한다. 본래 UAE-바레인-카타르 3국가는 영국의 협정국(Trucial State)으로 사실상 보호령이었다. 본래 바레인은 레드라인 계약(Redline Agrement, 1928)에 의해 특정 지역 내에서 석유가 발굴되면 영국-프랑스-미국이 모두 합작을 해야하는 규칙이 있었다. 미국은 바레인과 비슷한 지질구조를 가진 사우디아라비아(KSA)에서 석유채굴의 가능성을 보았으나, 영국은 회의적으로 생각하였다. 결국, 사우디와 미국이 1933년 계약하여 1938년 채굴에 성공한 사우디는 오늘날 세계석유의 1/4를 생산하고 있다.

한편 이란은 이집트에서 유입된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s, 1928~)의 이슬람주의 사상에게 점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기존, 이란 왕정에 대한 반감에 힘입어 당선된 모사데크(Mossadeg, 1951)는 이란의 석유를 완전히 국유화한다. 본래 미국은 사태에 개입할 의사가 없었으나, 이란 내부의 사회-공산주의 계열 정당이 모사데크를 지지하자 그를 실각시키기로 합의한다. 1953년 미국-영국이 석유를 국유화한 정권을 무너트리고 새로운 친미 정권을 세운다. 그 과정에서 본래 지분을 가지고 있던 영국이 아닌, 미국이 이란의 석유 지분을 가지게 되며, 이란에 영향을 끼치는 국가가 ‘영국’에서 ‘미국’으로 바뀌는 계기가 된다. 미국의 지지를 얻 어 이란 왕정은 근대화 개혁을 실시한다. 그 개혁이 바로 ‘백색혁명(1963)’이다. 무슬림 농경 사회가 중심이던 이란을 서양식 근대화로 번혁시키려 했던 것이다. 하지만, 개혁은 1979년 이란혁명으로 완전히 실패한다. 왜 실패했을까? 실패의 원인은 ‘유가’였다. 1973년 1차 석유파동은 전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아랍-이스라엘 제4차 전쟁(1973)에서 친이스라엘에게 석유를 공급하지 않겠다는 원유생산국들의 의지는 글로벌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충격은 석유 생산을 경제의 중심으로 삼던 이란도 받았고, 이란 왕정의 개혁프로그램도 어려움에 봉착했던 것이다. 결국 , 기존 왕정에 대한 불만이 폭팔하여 1979년 2월 이란 왕정이 무너지고, 1979 년 4월 이슬람공화정이 건설된다.

III. 1979년 이란혁명의 시작

  이란혁명(1979)으로 권력을 잡은 호메이니는 '이란은 이슬람식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는 매우 혁명적인 주장을 펼친다. 때문에 파키스탄의 마우두디(Maududi)는 이란의 혁명이 “시아 (Shia)의 혁명”의 아니라 “이슬람의 혁명”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은 이란혁명에 미온적이었는데, 이는 이슬람주의자인 호메이니가 철저한 반공주의자였기 때문이다.

1979년은 세계사에서 여러 중요한 사건이 발생한 운명의 해이기도 하다. 1979년 11월 미국은 이란 국왕 무함마드 레자 파할리비(Mohammad Reza Pahlavi)의 망명을 받아들였고, 이에 격분한 젊은이들이 이란 미국 대사관을 444일 동안 점거하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미국 대통령 선거에선 카터(1977~1981)가 선거에서 패배하고 레이건(1981~1989)이 당선되었다. 또 1979년 12월 24일에는 소련이 타지키스탄을 통해 아프카니스탄에 침공한다. 본래 아프카니스탄은 1971년부터 공산당이 정권을 점거하고 있었다. 그러나 공산주의 정파가 온건파와 과격파로 나뉘고, 새로운 아프카니스탄 공산당 지도자를 소련이 의심하면서, 끝내 소련이 침공하게 된다.

그러나 소련의 침공은 결정적인 실책이었다. 아프칸에 대한 소련 침공은 아랍세계 무슬림들에게 '무신론자와 유신론자 사이의 전쟁'으로 이해되었다. 1980년 1월,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은 아프칸 전쟁을 경제적으로 지원했다.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전쟁이 발생할 경우, 배후국으로서 아프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때문에 군인들을 훈련시켜 전쟁터에 보내는 역할을 맡았다. 이런 배경에서 ‘무신론자’ 소련에 맞서 ‘유신론자’들을 지키는 무자헤딘(Mojahedin) 집단이 탄생했다. 자원병으로 구성된 아랍 무자헤딘은 소련과 적극적으로 전쟁을 치뤘고, 1979~1989까지 무의미한 전쟁을 치룬 소련은 패퇴한다. 그리고 여기 참전했던 무슬림 병사들의 모임이 ‘알카에다’이다.

IV. 맺음말

  이란혁명은 아랍국가들에게 위협적이었다. 때문에 사담 후세인의 이라크는 스스로를 아랍세계의 동쪽문을 지키는 수문장이라고 주장하며, 미국과 아랍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이란과 전쟁을 치룬다. 이것이 이란-이라크의 8년전쟁(1980~1988)이다. 그러나, 지원에도 불구하고 이라크의 독재자 사담 후세인은 패배했다. 전쟁으로 쌓인 많은 빚을 해결하고자, 사담 후세인은 1991년 쿠웨이트를 침공하여 유전을 장악한다. 그리고 사우디의 유전까지 점령하려던 시도를 국제연합군이 막는데, 이것이 1차 걸프전쟁이다. 이 전쟁에서 아버지 부시(1981~1993)는 사담후세인의 야심을 꺾는 것을 목표로 했고 국제연합군이 승리하며 1차전쟁을 끝낸다. 그리고 2003년에 2차 걸프전쟁이 발발한다. 2차 걸프전쟁은 아들 부시(2001~2009)가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를 명목으로 삼아 미국이 공격한 전쟁이다. 미-소 냉전시대 미국은 베트남의 실패를 만회할 필요가 있었고, 스텔스기 등 신무기를 선보이며 미국의 강력함을 과시했다. 이렇듯 이란혁명(1979)에서 시작된 역사적 흐름은 걸프전쟁(1991, 2003)까지 이어졌으며, 최근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2023)또한 이란혁명의 역사적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될 수 있다.


【참고자료】

1) 에스포지토(박현도, 송영은 공역), 『이슬람의 모든 것』, 바오, 2020.

2) John L. Esposito -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1).

3) Marshall G. S. Hodgson, 『The Venture of Islam, Volume 1: The Classical Age of Isla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7).

4) 박태식, 주원준, 박현도 공저, 『신학의 식탁』 (들녘, 2019).

5) 박현도, 「이슬람교의 이해」 및 「이슬람사」 강의록 참고.

6) [#中東史] 십자군 전쟁의 의미와 후대에 미친 영향, <Blogspot>, 2023-12-25, <https://decentpark-into-thevencera.blogspot.com/2023/12/blog-post_25.html>

7) [#中東史] 튀르크인과 이슬람사, <Blogspot>, 2023-12-21, <https://decentpark-into-thevencera.blogspot.com/2023/12/blog-post_21.html>

8) [#中東史] Shia파와 Sunni파의 분열 (Islamic history), <Blogspot>, 2023-11-07, <https://decentpark-into-thevencera.blogspot.com/2023/11/shia-sunni-islamic-history.html>

9) [#中東史] 이슬람(Islam)의 역사성, <Blogspot>, 2023-11-07, <https://decentpark-into-thevencera.blogspot.com/2023/11/blog-post_7.html>

10) 모로코 종교학자평의회 사무총장 Ahmed Abaddi 박사 초청 강연 -이슬람 극단주의 원인을 중심으로한 재요약-, <Blogspot>, 2023-09-26, <https://decentpark-into-thevencera.blogspot.com/2023/09/ahmed-abaddi.html>


Creative Commons License
This work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