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생각] 블로그 글을 다시 읽고 고찰하는 점에 대해서 下段의 2개의 블로그글을 읽으면 알 수 있듯이 결국, 유대계와 유럽민족들의 연결성은 유럽문화의 근본에 존재한다. 유럽사에서 유대계를 배제하려한 국가들은 결국 재정적 위기에 직면하는 사례들이 존재. 정말로 단순히 유대인들이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음모론적 표현으로 그 사건들이 단순화가 가능한가? 아니다. 실제로는 유럽이라는 정체성의 기반을 유럽인들 스스로 파괴하는 행위가 집단의 약체화를 불러일으킨 것. 그리고 역사는 현대로 이어진다. 오늘날의 이란. 이란의 조상 페르시아는 유대인들을 독립시켰고(고레스 대왕) 그래서 유대인들이 찬양하기도 한다. 도리스족, 페르시아족, 둘 다 인도유럽어족. 즉 친척민족 관계. 그러나 역사시대에는 서로 혐오하던 관계로 선사시대의 연결성을 가질뿐, 역사시대의 연결성은 존재하지 않던 집단 관계이다.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의 확산에 적극적으로 저항했다. 페르시아의 침공에 대항하여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연합한 것이다. 페르시아의 확산에 넓은 범주로 같은 인도유럽어족인 도리스족도 적극적으로 저항했고, 그리스의 민족들이 협력에 성공하여 합해진 힘으로 저항했으며 또 그게 성공했다. 후에는 그리스 북부에서 등장한 마케도니아가 페르시아를 역으로 점령한다. 마케도니아의 알랙산더 대왕은 牛角다. 유럽이주민들에 의해 건국된 미국이, 오늘날은 이스라엘의 동맹으로서 이란에게 적대하고 있다. 이슬람교와 유대교는 연결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슬람교 시아파의 종주국이 이란이며, 동시에 페르시아적 유산도 가진다. 페르시아적 유산'만' 가진 것은 아니다. 역사의 아이러니와 복잡성을 느낄 수 있다. 동양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당나라 이세민의 한반도 침투와 확장이다. 차이점은 그리스는 단결된 힘으로 페르시아 제국의 침투와 확장에 저항했고 성공했으나, 한반도는 단결하지 못했고 당나라인들의 침투와 확장에 굴복했다는 점이다. 난 동양사회의 문명구조는 본질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